손엔 활이 들려져 있었고
다리가 말의 몸에 심겨졌지
말과 나는 한 몸이 되었지
그제야 예언의 소리를 들을 수 있었지
어둠 속엔 많은 별이 있었지
십자가 없는 어둠,
그 불안한 시간 속에서
별을 보며 내 형상을 기억했지
가끔씩 구름에 가려 별이 안보이면
활을 쏘았지 허공 속에서 비명이 들려왔지
꺼지지 않는 촛불의 위태로움을
말 위에서 견디는 삶
그곳엔 조용한 잠도 없었지
열두 밤이 지나자 황도십이궁의 한 모퉁이에
나는 떨어졌지

새벽녘 어머니가 내 머리칼을 만지고 있었지
나는 쭈글해진 어머니 배에 귀를 갖다 댔지
말발굽 소리와 활이 날아가는 소리가 들렸지
그 큰 어둠을 품고 어머니는 새벽기도를 가셨지
나는 어머니가 믿는 神의 안부가 궁금해졌지
- 이재훈, <사수자리> 부분

포스트모던 시대에 시인들은 오히려 종교적 구원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겉으로 내색하지 않는다. 가상과 환타지가 난무하는 시대적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진부하다고 느끼는 걸까? 아니면 인간의 연약함을 감추는 또다른 몸짓일까? 시인마다 작품 속에서 복잡한 복선을 깔아두는 것은 분명하다. 십자가 없는 어둠, 그 불안한 시간 속에서 그는 자신이 만든 가짜 세상 속에 안주하며 혼자인 그는 한 가지 방법을 찾아낸다. 어머니에 기대는 것이다. 어머니는 인간에게 더없이 확실한 실체인 것이다. "나는 어머니가 믿는 신의 안부가 궁금해졌지"라고 내뱉는 행태는 또한 종교에 소극적인 그들의 단면이기도 하다. 신앙은 여전히 신비로 남아 있는 부분이 존재한다. 고통스런 현실에 스스로 변화되기를 강요당하며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으면 하고 바라는 존재들에게는 말이다.
코미디언 제리 루이스는 1960년대 "내게 사실로 존재하는 것은 세 가지다. 바로 하나님, 인간의 어리석음, 그리고 웃음이다. 앞의 두 가지는 우리의 이해 밖에 있기 때문에, 우리는 세 번째 것과 관련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가짜 세상은 기만이다. 하지만 편안하다. 스스로 자신에 맞춰 재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언제까지 가짜 세상에서 살아가는 것이 가능할까? 시시때때로 우리는 현실과 마주해야 한다. 도피할 수 있는 현실은 현실이 아니다. 어머니가 새벽기도를 가시며 풀고 간 어둠을 시인은 오랜만에 편안한 마음으로 바라본다. 이순간 그는 스스로의 불안에 대해 진실할 수 있는 것이다.

- <유심>, 2007년 봄호 중에서
Posted by 이재훈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