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영혼의 순례자



김유중
(문학평론가, 항공대 교수)



5. 젊은 날의 아픈 기억, 쉽게 지워질 수 없는

상실의 감정은 우리를 아프게 만든다. 특히 모든 것을 바쳐 몰두했던 무언가를 잃었을 때의 그 아픔이란 직접 당해보지 않은 사람이라면 도저히 상상하기 힘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이겨낸다는 것은 참으로 힘들고 어려운 일이다. 이성적으로야 몇 번이고 털고 일어설 수 있을 것 같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말일 뿐, 현실에 있어서 그것이 실제 그대로 극복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황의 어려움을 시적으로 성공적으로 표현한 두 편의 시를 여기서 잠시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이재훈의 「때 이른 유적」(시로 여는 세상, 2002. 가을호)은 그러한 상황을 운명론적인 시각에서 조명하고 있다.

너를 보다 보니
너는 안보이고 내 경험이 보인다
나는 너를 때 이른 경험으로 만지작거리다가
급기야 너를 훼손하고 만다

…(중략)…

저기 담벼락에 꽃 한 송이가 안간힘으로 피어 있다
꽃이 떨어지면 그 꽃을 지켜보던 풀잎 하나는
평생 간직할 유적 하나를
선물로 받게 될 것이다
나는 작고 예쁜 그 꽃이 언젠가는 떨어질 것을 알고 있다
누구나 아는 이 사실을 알기까지
나는 내 젊음을 모두 소진했다

마음은 가장 무거운 유적이다

이 텍스트에서 상실에의 두려움은 처음 탄생과 만남의 순간부터 어차피 예비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우리는 그러한 두려움을 원천적으로 떠안은 채 살아간다. 우리 마음 속에 잠재되어 있는 이러한 원천적인 상실에의 두려움을 시인은 ‘때 이른 유적’이라 칭한다. ‘너’를 보면서도, 정작 ‘나’는 ‘너’의 실체를 보지 못하고 ‘나’의 내부에 가로놓인 ‘너’에 대한 상실에의 두려움만을 응시한다. 그리하여 그러한 두려움은 대개 ‘내’ 삶에 파고든 실체로서의 ‘너’의 의미를 왜곡하고 훼손시키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된다.
왜 그래야만 했을까. 그의 지난 경험이 그에게 끊임없이 그러한 위험성에 대해 귓속말로 귀띔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는 이미 알고 있다. “꽃이 떨어지면 그 꽃을 지켜보던 잡초 하나는/평생 간직할 유적 하나를/선물로 받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그럼에도 시인의 영혼은 이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을 앞에 두고 여전히 엉거주춤 망설이고 있을 뿐이다. 그의 표현대로 “마음은 가장 무거운 유적”이기에.

- <시와정신> 2002년, 겨울호
Posted by 이재훈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