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장 위쪽 나무들이 고개를 숙여 만들어낸 그늘길을 따라 걷다 보면 오른편에 언덕으로 오르는 오솔길이 있다. 그 길이 바로 그 유명한 할머니 동산으로 오르는 길이다. 할머니 동산, 이라고 가만히 입술을 열어 보면 그날의 풍경과 그날의 목소리와 그날의 어지러움이 함께 떠오른다.

이른 봄날이었다. 며칠 전까지만 해도 찬바람이 마지막까지 제 존재를 증명하려는 듯 옷깃으로 파고들었다. 겨울을 무기력하게 보냈고 봄이 오면 새로운 다짐을 하리라 생각했다. 그래서인지 그날의 햇살은 더 남다른 데가 있었는지도 모른다. 강의실 창가에까지 보드라운 몸을 기대는 햇살의 감촉을 참을 수 없었다. 세상의 가식된 거짓에서 벗어나라는 진리의 새가 어깨 위로 포르르 날아와 앉는 느낌이었다. 함께 강의를 듣던 친구들은 술렁거리기 시작했다. 밖으로 나가자고, 그래 그러자고 합의를 하고 교수님을 졸랐다.

우리는 운동장에서 야구를 하는 야구부원들의 역동적인 몸놀림을 바라보며 뒷길을 걸었다. 봄날의 햇살 때문인지 모든 풍경이 새롭게 꿈틀거리는 듯 보였다. 친구들 몇은 막걸리를 준비했다. 할머니 동산으로 오르는 길은 소박했고 편안했다. 마치 할머니를 만나러 가는 느낌처럼. 할머니 동산은 작은 정원이었다. 이쪽 저쪽 꽃몽오리가 얼굴을 내밀고 있었다. 이제 곧 꽃이 될 붉고 노란 얼굴들이 동산에 가득했다. 꽃향기를 맡으며 술향기를 맡는 이 신선함. 우리는 적당한 곳에 자리를 잡고 준비해온 막걸리를 마셨다.

막걸리판이 벌어지면서 자연스레 노래판도 벌어졌다. 그러나 우리의 쑥스러움은 쉽게 노래의 열정으로 빠져들지 못했다. 술이 몇 순배 더 돌고나서 한 친구가 노래를 불렀다. 그 친구는 원우들 중에서도 가장 낯을 가리고 수줍음 많은 친구였다. “사랑함에 세심했던 나의 마음은 그렇게도 그대에게 구속이었소. 믿지 못해 그런 것이 아니었는데 어쩌다가 헤어지는 이유가 됐소……” 구창모의 희나리였다. 나는 그날의 그 노래를 잊지 못한다. 좀 처연하긴 하지만, 할머니의 품에서 위로받으려는 듯 다짐하려는 듯 끊어질 듯 이어지며 불렀던 노래. 희나리는 덜 마른 장작을 말한다. 그때도,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우리는 덜 마른 장작이었다. 덜 마른 장작이 내뿜는 매캐한 연기가 할머니 동산에 가득했다. 나는 그 이후로 구창모의 희나리를 더욱 좋아하게 되었다.

공간은 안과 밖의 변증법으로 인해 의미를 갖는다. 어디로 도망할 것이며 어디로 피할 것인가. 안은 어디이며 밖은 어디인지 분간할 수 없었던 시절. 결국 안과 밖을 구분하는 것 자체가 어리석은 것이지만. 할머니 동산은 이곳이 아닌 저 너머의 곳이었다. 도망도 피할 곳도 아닌 위로를 준 동산이었다.

그 뒤로 몇 번을 그 동산에 올랐던가. 가슴이 울렁거릴 것만 같은 그 동산. 내겐 비밀의 화원이었던 그 동산. 할머니의 치마폭처럼 알 수 없는 울분과 고민을 감싸 안아 주었던 그 동산을 다시 한번 오르고 싶다.

(중대대학원신문, 2006, 7.)

Posted by 이재훈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