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모(無毛)한 생활에선 이미 잊힌 지 오랜 들꽃이 많다.
 
더욱이 이렇게 숱한 풀벌레 울어 예는 서녘 벌에
한 알의 원숙한 과물(果物)과도 같은 붉은 낙일을 형벌처럼 등에 하고
홀로 바람의 외진 들길을 걸어 보면
이젠 자꾸만 모진 돌 틈에 비벼 피는 풀꽃들의 생각밖엔 없다.
 
멀리 멀리 흘러가는 구름 포기
그 구름 포기 하나 떠오름이 없다.
 
 
 
풋물 같은 것에라도 젖어 있어야 한다.
풀밭엔 꽃잎사귀,
과일 밭엔 나뭇잎들,
이젠 모든 것이 스스로의 무게로만 떨어져 오는
산과 들이 이렇게 무풍(無風)하고 보면
아, 그렇게 푸르기만 하던 하늘, 푸르기만 하던 바다, 그보다도 젊음이란 더욱 더 답답하던 것,
한 없이 더워 있다. 한없이 식어 가는
피 비린 종언(終焉)처럼
나는 오늘 하루
풋물 같은 것에라도 젖어 있어야 한다.
 
 
 
바람이여,
 
풀섶을 가던, 그리고 때로는 저기 북녘의 검은 산맥을 넘나들던 그 무형(無形)한 것이여,
너는 언제나 내가 이렇게 한낱 나뭇가지처럼 굳어 있을 땐
와 흔들며 애무했거니,
나의 그 풋풋한 것이여.
불어다오,
저 이름 없는 풀꽃들을 향한 나의 사랑이
아직은 이렇게 가시지 않았을 때
다시 한 번 불어 다오. 바람이여,
아, 사랑이여.
 
 
 
 
◆ 시_ 박성룡 - 1932년 전남 해남에서 태어났으며, 1956년 《문학예술》에 「화병전경」등이 추천되면서 작품활동 시작. 시집으로 『가을에 잃어버린 것들』, 『춘하추동』『동백꽃』, 『휘파람새』, 『꽃상여』, 『고향은 땅끝』 등이 있음. 현대문학상, 시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등을 수상함.
 
낭송_ 이재훈 - 1972년 강원도 영월에서 태어났으며, 1998년 《현대시》에 시가 당선되어 작품활동 시작. 시집 『내 최초의 말이 사는 부족에 관한 보고서』가 있음.
출전_ 『풀잎』(창비)
음악_ 권재욱
애니메이션_ 이지오
프로듀서_ 김태형
 
 

 
“풀잎은 퍽도 아름다운 이름을 가졌어요”로 시작하는 시를 기억하실 거예요. 시인 박성룡을 저는 ‘풀잎의 시인’이라 기억합니다. 풀잎 풀잎 자꾸 부르면 우리 몸과 마음도 어느덧 푸른 풀잎이 된다고 하던…… 풀이 아니라 풀잎! 그리고 여기, 그 청신한 풀잎의 감각을 ‘풋물 같은 것’으로 펼쳐 놓고 우리 몸 어딘가 작은 일부라도 풋물에 적셔두고 살자는 ‘풀잎 마음’을 전합니다. 동시처럼 해맑은 시 「풀잎」의 어른 버전, 혹은 클래식 버전이라고 할까요. 시는 기본적으로 아날로그의 영혼을 가진 장르입니다만, 오래된 시인들이 보여주는 고품격 아날로그의 타전에 숙연해지는 때 많습니다. ‘모진 돌 틈에 비벼 피는 풀꽃’의 마음을 생각합니다. 나를 흔들어주는 바람에 감사합니다. 그래요 우리, 흔들리면서, ‘풋물 같은 것에라도 젖어 있어야’ 합니다. 사랑의 몫이 그러하듯이. 교외― 그 푸른 틈처럼.
 
문학집배원 김선우
Posted by 이재훈이
,

소리의 심연


정현종


1. 귀를 그리워하는 소리

나는 소리의 껍질을 벗긴다
그러나 오래 걸리지 않는다
사랑이 깊은 귀를 아는 소리는
도둑처럼 그 귀를 떼어가서
소리 자신의 귀를 급히 만든다
소리 자신의 목소리에 귀를 붙인다
내 떨리는 전신을 그의 귀로 삼는 소리들
모든 소리의 핵 속에 들어 있는 죽음
모든 소리는 소리 자신의 귀를 그리워한다.

2. 명랑한 남자

나는 아 어쩌면 이렇게 명랑한가?
낮이 밤 속으로 태양색의 꼬리를 감추기까지
해님이 걸어가는 방식을 아시나요?
어찔 명랑, 뒤뚱 명랑
정오의 목을 조르기 위해
밥의 바다, 찌개의 바다로 나아가고
그러나 일용할 양식 이외의 양식은 버리며
그러나 일용할 즐거움과 야합하며
그러나 자기의 날개에 더욱 못을 치기 위해
발의 해머, 웃음의 해머, 눈물의 해머를
동원한다. 어찔 명랑……

대낮이 만드는 청명한 공기의 계단을
물론 오르내릴 수 있지만
아시나요 모든 소리가 다 외로워하고 있어요
가령 슬픔에 찬 저 바람의 푸른 눈이
내가 끌어안고 쩔쩔매는 바람 소리를 보네요

3. 소리의 구멍

남자의 몸이 사라지고 문득
몸 형상의 구멍이 빈다
여자의 몸이 사라지고
여자의 몸 형상으로 공기가 잘린다
그들의 소리가 지나간 만큼의
구멍이 공기 속에 뚫려 있다
나의 바깥으로 열린 감각들은 모두 닫혀 있다

공기를 뚫고 지나간 소리의 구멍의 유혹
소리를 통해서 형상이 남는 방식
소리가 남는 쓸쓸한 방식
소리를 잊을 수 없기 위하여
내려가는 계단은 어두우면 좋다
어둠 속에서 들린 소리의 구멍은
어둠이 묻지 않은 공기의 구멍보다
더 뚜렷하고 더 아프기 때문에.
(소리의 주인들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
(사랑과 울음으로 뭉쳐 어디로 갔을까)

4. 침묵

나는 피에 젖어 쓰러져 있는
한 무더기의 고요를 본다
고요는 한때 빛이었고 고요 자신이었고
침묵의 사랑하는 전우였다
나는 피에 젖어 쓰러져 있는
한 떼의 침묵을 본다
말은 침묵의 꼬리를
침묵은 말의 꼬리를 물고 서로
기회를 노리고 있다
죽도록 원수처럼 노리고 있다

---------
찬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뜨거운 열기 속에서 잠자던
감각이 서서히 찬바람을 맞고 일어선다.
귀를 그리워하는 소리들이 아우성대다가
침묵 속으로 사라져버리는 감각의 향로(向路)들이
빈 속의 찬소주처럼 몸속으로 싸하게 들어오는 가을이다.(記. 이재훈 시인)

Posted by 이재훈이
,

너를 본 순간


이승훈


너를 본 순간
물고기가 뛰고
장미가 피고
너를 본 순간
아무 것도
보이지 않았다
너를 본 순간
그동안 살아온 인생이
갑자기 걸레였고
갑자기 하아얀 대낮이었다
너를 본 순간
나는 술을 마셨고
나는 깊은 밤에 토했다
뼈저린 외롬 같은 것
너를 본 순간
나를 찾아온 건
하아얀 피
쏟아지는 태양
어려운 아름다움
아무도 밟지 않은
고요한 공기
피로의 물거품을 뚫고
솟아오르던
빛으로 가득한 빵
너를 본 순간
나는 거대한
녹색의 방에 뒹굴고
태양의 가시에 찔리고
침묵의 혀에 싸였다
너를 본 순간
허나 너는 이미
거기 없었다

----------

언제나 사랑은 느리게 온다. 몸이 알아챌 무렵,
그 사랑은 이미 거기 없다.
물고기가 뛰고 장미가 피었을 때.
그것이 사랑이 반짝이는 비늘이었음을 알아챌 때는
이미 몸은 저만큼 앞질러 가있다.
투명한 의식만 달랑달랑거린다. (記. 이재훈 시인)

Posted by 이재훈이
,

빈집


기형도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잘 있거라, 짧았던 밤들아
창밖을 떠돌던 겨울안개들아
아무것도 모르던 촛불들아, 잘 있거라
공포를 기다리던 흰 종이들아
망설임을 대신하던 눈물들아
잘 있거라,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아

장님처럼 나 이제 더듬거리며 문을 잠그네
가엾은 내 사랑 빈집에 갇혔네

------------------
안개의 시인 기형도.
우리는 기형도가 주는 "안개의 주식"을 갖고 있다.
마치 죽음을 예견하기라도 한 듯한 아픔을 주는 시.
이별의 계절 가을.
이별은 버리는 게 아니라 가득했던 마음을 비우고,
그 빈집에 성숙한 사랑의 의미를 담는 그런 일임을
마음에 가만히 담아 본다. (記. 이재훈 시인)

Posted by 이재훈이
,


자화상

 
최승자

 
나는 아무의 제자도 아니며
누구의 친구도 못 된다.
잡초나 늪 속에서 나쁜 꿈을 꾸는
어둠의 자손, 암시에 걸린 육신.

어머니 나는 어둠이에요.
그 옛날 아담과 이브가
풀섶에서 일어난 어느 아침부터
긴 몸뚱어리의 슬픔이예요.

밝은 거리에서 아이들은
새처럼 지저귀며
꽃처럼 피어나며
햇빛 속에 저 눈부신 천성의 사람들
저이들이 마시는 순순한 술은
갈라진 이 혀끝에는 맞지 않는구나.
잡초나 늪 속에 온 몸을 사려감고
내 슬픔의 독이 전신에 발효하길 기다릴 뿐

뱃속의 아이가 어머니의 사랑을 구하듯
하늘 향해 몰래몰래 울면서
나는 태양에의 사악한 꿈을 꾸고 있다.

--------
자기 부정과 모멸의 언어가 자학에 끝나지 않습니다.
하늘을 향해 불어대는 갈라진 혀끝의 뜨거움이 전해집니다.
무뎌진 마음의 날을 한번 쓰다듬어 봅니다. (記. 이재훈 시인)

Posted by 이재훈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