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훈의 [일식]은 자아의 우주적 확대를 보여주고 있다. 이재훈은 최근의 일련의 작품들을 통해 세계로 나가기를 두려워하며 일상성에 매몰되어 있는 자아를 관찰하며 여기에서 일탈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준다. 특히 일상의 질서와 금기에 갇혀 있는 자아를 바라보며 어느 날 문득 불러본 세계의 모습을 다룬 [일식]([시로 여는 세상], 가을호)은 인상적이다.


태양이여,
나는 이 큰 우주를 목놓아 불러본 적 없다
용기도 없이 컴컴한 방에 앉아
내 미래를 셈하고 오늘의 피로를 불평하고
쓰레기 같은 영상들만 구경했다

어느 날 나는
태양이여, 불러보고 싶었다.
늘 곁불만 쬐며 속으로 옹알거리기만 하며
이 엄살의 통각(痛覺)을 갖게 되었다
태양이여, 부르는 순간
내 항문으로 뱀이 숯머리를 들이밀고 왔다
온몸이 뜨거워져서 태양에게 다가가도 뜨겁지 않았다
불타지도 않았다

뱀이 태양을 갉아먹을 때
아름답다
하나의 꿈틀거리는 숨이 우주를 갉아먹을 때
위대하다
네 소멸이 위대한 미학이라고
그렇게 말하는 순간
어느새 뱀의 뱃속에 태양이 들어가 있다
고요 가운데 입을 열고 들어가
한몸이 된
뜨거운 잉태

나는 큰소리로 태양이여, 불렀다
뱃속에서 울리는 뜨거운 공명

모든 사위는 어둠이 되었다

― 이재훈, [일식] 전문


달과 생물, 인간, 인간사와의 관계는 민중들 속에 이미 뿌리 깊은 속신으로 존재하여 왔다. 예를 들어 집안의 여성들은 대보름에 개에게 밥을 주면 밝은 달의 정기를 빼앗아간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다. 풍요로움의 기원이 개에게 먹혀 좌절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보름에는 굶겼던 것이다. 이렇듯 ‘달의 기를 먹어버리는 개’라는 의식은 우리 일상의 밑바닥에도 존재했다.
이재훈의 [일식]은 속신과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오히려 자아의 세계에 대한 태도와 관련을 맺고 있다. 시적 화자는 자아가 “이 큰 우주를 목놓아 불러 보지 않고 어둠에 갇히는 유폐의 형식을 취할 때 자신과 우주와의 관계는 상실되고 생명이 결핍된다는 것을 말한다. 컴컴한 방, 미래의 셈, 오늘의 피로, 쓰레기 같은 영상 등의 세목들은 폐쇄적 공간으로 존재하는 자아의 형상이 취하는 모습이다(다만 이런 언어들은 좀더 시적인 언어로 정제될 필요가 있다). 이는 일상 속에 함몰된, 자아 스스로가 만든 ‘곁불’과 ‘엄살의 통각’의 벽이기도 하다. 시인은 이 벽이 호명을 통해 깨어진다고 말한다. 이 때 “태양이여”라는 세계의 부름은 생명력을 통해 몸을 영원으로 확장시켜 우주적 차원으로 이어주는 매개로 작용한다. 이 호명의 순간에 “항문으로 뱀이 숯머리를 들이밀고” 온다. 체내의 구멍인 항문에서 뱀이 나와 태양에게로 가서 태양을 갉아먹는다. 뜨거워진 몸 때문에 태양에게 다가가도 뜨겁지도, 불타지도 않는다. 숯머리의 뱀은 불이면서 물이다. 스스로 탈 뿐 아니라 불순한 불을 연소시키는 피 속의 불은 하나의 커다란 순수성이며 우리 속에 체류하면서 인간을 존재하게 하는 생생한 불이다. 꿈틀거리는 숨이요 불인 뱀이 태양을 갉아먹고, 우주를 갉아먹을 때, 세계를 그 속에 담는 커다란 우주알이 생성된다(“어느새 뱀의 뱃속에 태양이 들어가 있다”). 자아인 몸 생명의 유한성은 우주적인 것으로 확장된다. 몸 속에 도는 피(뱀)의 생명성은 우주로까지 확장되면서 몸은 대지와 육체성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우주적인 공간을 한 몸으로 잉태하게 된다. 이 때 몸은 대지와 하늘을 연결시키는 소우주로서의 몸이라는 육체성을 보여준다. “태양이여” 부를 때 “뱃 속에서 울리는 뜨거운 공명”을 듣는 순간, 이미 항문은 영원의 상징으로서의 달을 담는 그릇(우주알)이다. 그러면서 세계가 하나의 몸이 되는 차원이다.
이재훈의 시는 자아인 몸이 “비밀스런 유적인 두려움”([때 이른 유적])에서 벗어나 호명을 통해 세계를 여는 행위를 통해, 세계를 몸으로 담고 내 것으로 끌어들이는 모험과 창조행위를 여실히 보여준다. 이 때 자아는 질서와 금기의 공간에서 벗어나 무한한 자유의 공간으로 비상하는 것이다.

― 현대시, 2002년 10월호
Posted by 이재훈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