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정묘지(山頂墓地) 1

 

조정권

 

겨울 산을 오르면서 나는 본다.

가장 높은 것들은 추운 곳에서

얼음처럼 빛나고,

얼어붙은 폭포의 단호한 침묵.

가장 높은 정신은

추운 곳에서 살아 움직이며

허옇게 얼어터진 계곡과 계곡 사이

바위와 바위의 결빙을 노래한다.

간밤의 눈이 다 녹아 버린 이른 아침,

산정山頂

얼음을 그대로 뒤집어 쓴 채

빛을 받들고 있다.

만일 내 영혼이 천상의 누각을 꿈꾸어 왔다면

나는 신이 거주하는 저 천상의 일각을 그리워하리.

가장 높은 정신은 가장 추운 곳을 향하는 법

저 아래 흐르는 것은 이제부터 결빙하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침묵하는 것.

움직이는 것들도 이제부터는 멈추는 것이 아니라

침묵의 노래가 되어 침묵의 동렬同列에 서는 것.

그러나 한번 잠든 정신은

누군가 지팡이로 후려치지 않는 한

깊은 휴식에서 헤어나지 못하리.

하나의 형상 역시

누군가 막대기로 후려치지 않는 한

다른 형상을 취하지 못하리.

육신이란 누더기에 지나지 않는 것.

헛된 휴식과 잠 속에서의 방황의 나날들.

나의 영혼이

이 침묵 속에서

손뼉 소리를 크게 내지 못한다면

어느 형상도 다시 꿈꾸지 않으리.

지금은 결빙하는 계절, 밤이 되면

물과 물이 서로 끌어당기며

결빙의 노래를 내 발밑에서 들려주리.

여름 내내

제 스스로의 힘에 도취하여

계곡을 울리며 폭포를 타고 내려오는

물줄기들을 얼어붙어 있다.

계곡과 계곡 사이 잔뜩 엎드려 있는

얼음 덩어리들은

제 스스로의 힘에 도취해 있다.

결빙의 바람이여,

내 핏줄 속으로

회오리치라.

나의 발끝에서 머리끝까지

나의 전신을

관통하라.

점령하라.

도취하게 하라.

산정의 새들은

마른 나무 꼭대기 위에서

날개를 접은 채 도취의 시간을 꿈꾸고

열매들은 마른 씨앗 몇 개로 남아

껍데기 속에서 도취하고 있다.

여름 내내 빗방울과 입 맞추던

뿌리는 얼어붙은 바위 옆에서

흙을 물어뜯으며 제 이빨에 도취하고

바위는 우둔스런 제 무게에 도취하여

스스로 기쁨에 떨고 있다.

보라, 바위는 스스로의 무거운 등짐에

스스로 도취하고 있다.

허나 하늘은 허공에 바쳐진 무수한 가슴.

무수한 가슴들이 소거된 허공으로,

무수한 손목들이 촛불을 받치면서

빛의 축복이 쌓인 나목의 계단을 오르지 않았는가.

정결한 씨앗을 품은 불꽃을

천상의 계단마다 하나씩 바치며

나의 눈은 도취의 시간을 꿈꾸지 않았는가.

나의 시간은 오히려 눈부신 성숙의 무게로 인해

침잠하며 하강하지 않았는가.

밤이여 이제 출동 명령을 내리라.

좀 더 가까이 좀 더 가까이

나의 핏줄을 나의 뼈를

점령하라, 압도하라,

관통하라.

한때는 눈비의 형상으로 내게 오던 나날의 어둠.

한때는 바람의 형상으로 내게 오던 나날의 어둠.

그리고 다시 한때는 물과 불의 형상으로 오던 나날의 어둠.

그 어둠 속에서 헛된 휴식과 오랜 기다림

지치고 지친 자의 불면의 밤을

내 나날의 인력으로 맞이하지 않았던가.

어둠은 존재의 처소에 뿌려진 생목의 향기

나의 영혼은 그 향기 속에 얼마나 적셔두길 갈망해 왔던가.

내 영혼이 내 자신의 축복을 주는 휘황한 백야를

내 얼마나 꿈꾸어 왔는가.

육신이란 바람에 굴러가는 헌 누더기에 지나지 않는다.

영혼이 그 위를 지그시 내려누르지 않는다면.

-----------------------------------------

  조정권 선생님은 내게 그 무엇보다 산정묘지의 시인이다. 시가 거느린 본질과 이상에의 갈망이 가장 고독한 절연의 풍경으로 보여주는 시적세계는 단연 눈에 띄었다. 산정을 이리저리 오가며 탄성과 다짐과 고백의 말들을 얼음처럼 쏟아낼 때 느껴지는 전율은 오래 내 감각에 남았다. 그 후로 <비를 바라보는 일곱 가지 마음의 형태>에 신기해했고, <하늘이불>에 눈이 반짝했으며, <신성한 숲>을 가로질러 <떠도는 몸들>에 이르러 우수어린 도시산책자의 본면을 바라보다 <고요로의 초대>에서 위안을 얻었다.

평단에 선생의 시세계를 지칭하는 정신주의라는 개념은 조정권의 시를 위해 만들어진 개념과도 같았다. 정신주의를 대변할만한 시가 무엇이 있을까. 어쩌면 저 물음이 나에겐 큰 도전처럼 느껴졌다. 빽빽한 나무숲 사이에서 아주 좁고 희미한 길 하나가 슬쩍 보이는 기분이었다. 때론 나는 정신주의가 될 것이다라는 다소 거칠고 객기어린 말을 노트에 적어 넣기도 했다. 하지만 내겐 선생과 같은 염결이 없다. 선생과 같은 시적 인내가 없으며, 철학도 사상도 미비하고, 미적인 것에 대한 심미안도 부족하다. 그렇기에 선생의 시는 내게 늘 위안이었다.

나는 첫 시집 <내 최초의 말이 사는 부족에 관한 보고서>를 묶으면서 조정권 선생님의 의견에 많이 의지했음을 고백해야 한다. 첫 시집을 묶어놓고 조정권 선생님과 김혜순 선생님께 추천글을 부탁드렸다. 두 분 선생님 모두 큰 인연은 없지만 추천글을 받고 싶은 선생님이었다. 조정권 선생님께 무작정 원고를 보내놓고 알아서 책임지시라는 생각으로 판단만을 기다렸다. 시집을 읽고 쓸 만하면 써주시고 그렇지 않다면 하등의 부담도 하지마시고 거절해주십사는 말을 첨언한 터였다. 며칠 후 선생께서는 친히 전화를 주셨다. 그리고 아주 천천히 내 첫 시집의 세계와 가능성에 대해 오랫동안 말씀해주셨다.

그때의 전화 통화는 지금까지도 잊을 수 없다. 그리고 덧붙여 이런 말씀도 해주셨다. “이 시인. 시집 제목을 <내 최초의 말이 사는 부족에 관한 보고서>로 하는 게 어때요? 길다고? 좀 길면 어때. 이 시 제목이 이 시인의 첫 시집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제목인데. 내 첫 시집도 제목이 엄청 길다고.” 그렇게 하여 내 첫 시집 제목은 <내 최초의 말이 사는 부족에 관한 보고서>가 되었다. 그리고 그때 저 제목이 아니었다면 어땠을까. 저 제목이어서 참 다행이다란 말을 몇 번이고 되뇌었다. 나는 그 후로 선생의 곁에 조금 더 가까워진 느낌이었다.

선생님께서는 이제 영면하셨다. 나는 지금도 시가 안 풀릴 때마다 선생의 시를 읽는다. 그러면 뜨겁고 강한 시적 에너지가 전해지기도 하고, 고요하게 침잠하기도 한다. 의미 사이의 긴장을 숨찰 정도로 멋들어지고 단호하게 읽다가 어느 순간에 다시 고요해진다. 특히 산정묘지는 소리 내어 읽어야 하는 시다.

가을밤이던가. 문학행사를 마치고 선생과 집이 같은 방향이라 택시를 함께 탔다. 선생은 이 시인. 맥주나 한잔 더 하고 갈까고 넌지시 물으셨다. 무슨 할 말이 있으랴. 월곡역에서 내려 새벽까지 선생과 통음을 했다. 그때 무슨 얘기를 했던가. 오로지 시 얘기였다. 시 하나로 오롯하여, 모든 예술과 철학의 사유가 시를 위한 말들이었다. 은둔은 도시 속에서 하는 게 가장 처절하고 적절하다고 말씀하셨던가. 오로지 시로 만난 선생님이 보고 싶은 그런 날이다. 첫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

_ <현대시학>, 2017년 11-12월호

'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떤 하루 - 시인의 아케이드  (1) 2018.09.28
편지  (0) 2018.01.29
스무 살이 되었고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았다  (0) 2017.09.12
서툰 사랑  (1) 2017.07.18
저 멀리 있는 시에 관한 짤막한 단상들  (0) 2015.05.12
Posted by 이재훈이
,

산정묘지山頂墓地 1

조정권


겨울산을 오르면서 나는 본다.
가장 높은 것들은 추운 곳에서
얼음처럼 빛나고,
얼어붙은 폭포의 단호한 침묵.
가장 높은 정신은
추운 곳에서 살아 움직이며
허옇게 얼어터진 계곡과 계곡 사이
바위와 바위의 결빙을 노래한다.
간밤의 눈이 다 녹아버린 이른 아침,
산정은
얼음을 그대로 뒤집어 쓴 채
빛을 받들고 있다.
만일 내 영혼이 천상의 누각을 꿈꾸어 왔다면
나는 신이 거주하는 저 천상의 일각을 그리워하리.
가장 높은 정신은 가장 추운 곳을 향하는 법
저 아래 흐르는 것은 이제부터 결빙하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침묵하는 것.
움직이는 것들도 이제부터는 멈추는 것이 아니라
침묵의 노래가 되어 침묵의 동렬에 서는 것.
그러나 한번 잠든 정신은
누군가 지팡이로 후려치지 않는 한
깊은 휴식에서 헤어나지 못하리.
하나의 형상 역시
누군가 막대기로 후려치지 않는 한
다른 형상을 취하지 못하리.
육신이란 누더기에 지나지 않는 것.
헛된 휴식과 잠 속에서의 방황의 나날들.
나의 영혼이
이 침묵 속에서
손뼉소리를 크게 내지 못한다면
어느 형상도 다시 꿈꾸지 않으리.
지금은 결빙하는 계절, 밤이 되면
뭍과 물이 서로 끌어당기며
결빙의 노래를 내 발 밑에서 들려주리.

여름내내
제 스스로의 힘에 도취하여
계곡을 울리며 폭포를 타고 내려오는
물줄기들은 얼어붙어 있다.
계곡과 계곡 사이 잔뜩 엎드려 있는
얼음 덩어리들은
제 스스로의 힘에 도취해 있다.
결빙의 바람이여,
내 핏줄 속으로
회오리치라.
나의 발 끝에서 머리 끝까지
나의 전신을
관통하라.
점령하라.
도취하게 하라.
산정의 새들은
마른 나무 꼭대기 위에서
날개를 접은 채 도취의 시간을 꿈꾸고
열매들은 마른 씨앗 몇 개로 남아
껍데기 속에서 도취하고 있다.
여름내내 빗방울과 입맞추던
뿌리는 얼어붙은 바위 옆에서
흙을 물어뜯으며 제 이빨에 도취하고.
바위는 우둔스런 제 무게에 도취하여
스스로 기쁨에 떨고 있다.

보라 바위는 스스로의 무거운 등짐에
스스로 도취하고 있다.
허나 하늘은 허공에 바쳐진 무수한 가슴.
무수한 가슴들이 소거消去된 허공으로
무수한 손목들이 촛불을 바치면서
빛의 축복이 쌓인 나목의 계단을 오르지 않았는가.
정결한 씨앗을 품은 불꽃을
천산의 계단마다 하나씩 바치며
나의 눈은 도취의 시간을 꿈꾸지 않았는가.
나의 시간은 오히려 눈부신 성숙의 무게로 인해
침잠하며 하강하지 않았는가.
밤이여 이제 출동명령을 내리라.
좀더 가까이 좀더 가까이
나의 핏줄을 나의 뼈를
점령하라, 압도하라,
관통하라.

한때는 눈비의 형상으로 내게 오던 나날의 어둠.
한때는 바람의 형상으로 내게 오던 나날의 어둠.
그리고 다시 한때는 물과 불의 형상으로 오던 나날의 어둠.
그 어둠 속에서 헛된 휴식과 오랜 기다림
지치고 지친 자의 불면의 밤을
내 나날의 인력으로 맞이하지 않았던가.
어둠은 존재의 처소에 뿌려진 생목의 향기,
나의 영혼은 그 향기 속에 얼마나 적셔두길 갈망해 왔던가.
내 영혼이 내 자신의 축복을 주는 휘황한 백야를
내 얼마나 꿈꾸어 왔는가.
육신이란 바람에 굴러가는 헌 누더기에 지나지 않는다,
영혼이 그 위를 지그시 내려누르지 않는다면.


♣ 숲속을 거니는 새벽의 아들

겨울산을 자주 오른 적이 있었다. 그해 겨울 관촉사灌燭寺 반야산般若山을 자주 오르며 무언가 규정할 수 없는 정열과 싸웠던 때가 있었다. 돌이켜보면 그것은 ‘灌燭寺’란 이름처럼 나의 내면을 조용히 밝히는 일이었던 것 같다.
내면을 들여다보는 일이 막연한 정열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마치 신열身熱이 난 것처럼 영혼이 아팠기 때문이다. 겨울 산비탈에 얇게 쌓인 눈을 밟으며 혼미하고 어지러운 정신을 가다듬을 때쯤 조정권의 시편들을 만났다. 그 이후로 조정권의 [비를 바라보는 일곱 가지 마음의 형태]와 [산정묘지], [신성한 숲] 등은 두고두고 읽어가던 내 시집 목록이 되었다. 이 세계에 대한 막연한 저주와 의미없는 자학이 “가장 높은 정신은 가장 추운 곳을 향하는 법”을 배우는 도정에 놓여지게 된 것이다.
“숲속을 거니는 새벽의 아들, 빛의 신랑”은 조정권의 말이다. 그의 시는 새벽 동살을 기다리며 비밀의 숲을 소요하는 단독자單獨者의 언어이다. 고요한 성찰 가운데에 매운 채찍을 휘갈기는 언어이다. “침묵의 노래가 되어 침묵의 동렬에 서는 것”으로 잠든 정신을 채찍질했고, 방황 속에서 치렀던 긴 망상의 언어를 세상 밖으로 끄집어 내었다. 스스로 도취하지 않기 위해, 깊은 휴식에서 헤어나오기 위해, 지치고 지친 불면의 밤과 나날의 어둠 속에서 영혼의 향기를 느끼기 위해 이 시를 읽었다. 관념이 수사의 치장이 아니라 내면의 고귀한 고백이며, 절박한 물음이며 또한 고통임을 이 시를 통해 희미하게 보였다.
조정권은 얼음 속에 핀 꽃잎의 산책자이다. 그의 정열은 차가운 이성 속에서 시원始原과 본질을 탐하는 구도자의 모습으로 내게 남아 있다.

- 현대시, 2007년 2월호

Posted by 이재훈이
,